study 15

SDLC 방법론 <1-2> | 기능요구 사항이란? [2/5]

Functional requirements기능 요구 사항기능 요구 사항이란?기능 요구사항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기능 사항이라고도 불리며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때 시스템이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자면.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에는 텍스트를 전송하는 기능이나 입력 글자 수(500글자 초과 입력 불가) 제한 기능이 요구 사항에 해당됩니다.  아래와 같은 요소가 기능에 포함됩니다.계산학교 정보 애플리케이션에서 학생이 직접 입력한 시험 점수를 기반으로 학기별 점수 평균을 계산 데이터 조작 및 처리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특정 장르(액션, 공포, 로맨스)를 선택하여 검색하였을 때 선택한 장르가 포함된 영화 및 tv 프로그램을 검색결과로 표시 비즈니스 프로세스업무 관련..

SDLC 방법론 <1-1> |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이란? [1/5]

시작하기 전.해당 포스팅은 포스트 과정에서 언급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해당 포스트를 포함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프트 웨어 요구사항 > 기능적 요구 사항 > 비 기능적 요구 사항 > 도메인 요구 사항 >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을 작성에 대한 장/단점과 같은 구성으로 진행하겠습니다. Software Requirement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IEEE 표준 729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사용자가 문제 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나 능력 계약, 표준, 사양이나 다른 공식적으로 도입된 문서를 충족하기 위해 시스템 또는 시스템 구성 요소가 충족하거나 보유해야 하는 조건 또는 능력1과 2에서와 같이 조건이나 능력에 대해 문서화된 표현한마디로 요약하자면..

SDLC 방법론 <1> | 계획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는 무엇을 할까요

시작하기 전기존 SDLC 방법론 소개를 question 카테고리에서 진행했으나 생각보다 분량이 많아 software develop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현재 블로그에서는 SDLC 정의를 한번 더 집고 단계를 설명하겠습니다.SDLC -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소프트웨어 개발 생애주기 소프트웨어 개발 생애주기란?개발팀 내에 소프트웨어 기획, 설계, 개발,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사용하는 체계적인(or 구조화된) 과정을 의미합니다.  대략적으로 SDLC에서 각 단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요?SDLC에서 각 단계는 개발, 유지, 수정 및 개선하는 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획은 작업 기간 내 적은 비용으로 사용자 또는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일치하는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 것..

이해가 안되는 내용을 정리 하는 방법

개발 공부를 하면서가끔 한글로 번역된 자료나 영어 자료여서 한글로 해석해도 이해가 잘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땐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보거나, 머릿속에 내용이 어느정도 정리가 된 후에 이어서 학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이렇게 해도 더디게 진행된다면 아래 방법을 사용하는 것 또한 좋다고 생각합니다.1. 같은 내용을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풀어서 해석해보기해석의 순서는 주요 내용 확인 -> 해석 반복 -> 최종 해석으로 진행되며 해석하는 과정은 가져온 정보에서 어려운 단어나 다른 단어로 바꿀 수 있는 부분을 쉽게 풀어서 작성합니다. 또한 두 문장이 비슷한 내용이면 합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문장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문장과 일치할 때는 문장을 분해하여 다른 문장과 합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

study 2024.11.14

spam detector 프로젝트 [스팸의 정의 및 도배 스팸]

오랜 기간 동안 스팸은 sns, sms나 각종 인터넷 서비스에서 골칫덩어리였습니다.사용자에게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릴 뿐만 아니라 곧 금융, 개인정보 문제로 번지기 때문이죠.해당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spam detector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로 스팸을 저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상대방에게 비윤리적, 불법적인 목적으로 행하는 모든 메시지 전송 행위스팸의 범위를 간추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반복적인 메시지스미싱홍보메시지를 단기간에 보내거나 의미가 비슷만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보내어 서비스에 장애를 발생시키는 행위악성 url이 포함된 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보내어 이용자가 특정행위(ex.앱 설치, 개인정보 입력)를 하도록 유도하여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행위관련없는 웹사이트, 커..

study/research 2024.03.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