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docker 4

MSA 공부 <4-1 편> | Container 생성해보기

들어가기 전이번 단계에서는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명령어와 명령어의 옵션들을 살펴보며 앞으로 컨테이너를 다룰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포스팅 하겠으며 해당 챕터는 아래와 같이 총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겠습니다. 컨테이너 적응 (현재 단계)alpine(리눅스 경량화 버전) 컨테이너를 이용한 웹서버이미지 빌드 및 배포 진행도커파일(이미지 빌드 소스)에 대해 먼저 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dockerfile은 docker의 대략적인 흐름을 알아가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야 dockerfile의 옵션을 잘 응용할 수 있기에 지금 당장은 이러한 순서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1. 사용할 주요 명령어Docker ( container ) run  [ option ] image ..

cloud/docker 2024.11.11

MSA 공부 <3편> | Docker engine 설치하기

시작하기 전이제부터 본격적으로 docker를 직접 다뤄볼 차례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처음 설치할 때 해야 하는 설정과 도커 패키지 설치, 그리고 작동 테스트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1. 사전 준비 [ 기존 설치된 패키지 삭제 ]이전에 docker engine을 설치한 적이 있나요?그렇다면 해당 포스트를 통해 docker engine을 삭제 후 진행해 주세요. 도커 엔진 삭제 및 도커 오브젝트(이미지, 볼륨, 컨테이너, 설정 파일) 삭제도커 패키지 삭제sudo apt-get purge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docker-buildx-plugin docker-compose-plugin docker-ce-rootless-extras 도커 오브젝트(이미지, 볼륨,..

cloud/docker 2024.11.09

MSA 공부 <2편> | Docker architecture 파해 쳐 보자

들어가기 전_이번 포스트는 도커를 다루기 전 필수적인 개념이해는 아닙니다. 개발하다가 '왜 그렇지..?', ' 헷갈리네 '라는 생각이 들 때 참조하는 게 좋습니다.  1. 전반적인 Docker 구조도커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Docker client (client)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음Docker host.(host)입력받은 명령어를 처리 및 컨테이너를 관리Registry Image나 플러그인, 확장 프로그램을 저장 (주로 image를 관리함)이해를 위해 하나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사용자가 도커 컨테이너를 처음 만들기 위해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의 순서로 진행됩니다.client에서 api를 통해 host에 명령어를 전송host는 client에서 요청한 명령어를 받음host는 명령을 수행..

cloud/docker 2024.09.20

MSA 공부 <1편> | 익숙하지만 초면인 Docker와 container

해당 포스팅은 Docker, 더 나아가 micro service architecture에 대해 배우기 위해 전반적인 학습의 틀을 형성하는 포스트입니다. 3편부터 직접적으로 Docker를 사용하고 이전까지는 앞으로 배울 것에 대해 알아야하는 개념에 대해 포스팅하는 것이니 참조하세요!들어가기 전에_기존 process management 카테고리는 application management로 변경되었으며 포스팅 목표가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로 변경되었습니다. 지금은 디스코드 봇은 잠시 멈췄다. 그 이유는 디스코드 봇을 배포하는 방식을 Docker로 바꾸고 있으며 추후에 봇 서비스뿐만 아닌 "activity" 및 타 서비스로 확장하기 위해이다. 뭔가 거창하고 벌여놓는 거 같은 기..

cloud/docker 2024.09.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