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이유
프로젝트의 품질 제약 조건을 자세하게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의된 제약 조건을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대비하지 못한다면 계획을 세운 것이 의미가 없어집니다. 그러기에 정의한 제약조건을 대비하는 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제약 조건 대비 단계
1. 프로젝트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자세히 파악해야 합니다.
고객만족을 우선시한다는 것만 인지한 채 실제로는 비용과 시간에 허덕여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정의한 이유가 없겠죠? 그러기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각 제약 조건이 프로젝트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파악해야 합니다. 파악하는 방법은 팀마다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합니다.
제약 조건과 프로젝트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
프로젝트 매니저와 팀 일원들은 누가(who), 무엇을(what), 언제(when), 어디서(where), 왜(why), 얼마나(how)와 같이 6하 원칙을 기반으로 프로젝트가 제약 조건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파악을 해야 합니다.
파악한 후에는 무엇을 하나요?
프로젝트의 요소와 제약 조건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프로젝트 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위험 분석 수행
- 원인 및 결과 분석
- 리스크 평준화 기술
이외에 주요 이해 관계자와 토의를 통하여 프로젝트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이해 관계자가 제약 조건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팀이 제약 조건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프로젝트에 재정적 지원을 주는 스폰서나 고객과 같은 주요 이해 관계자에게도 이러한 제약사항에 대해 충분히 소통하여 이해시키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고객이 프로젝트 범위에 무엇이 포함되는지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포함되지 않은 요소나 사용되는 재료의 품질, 또는 여유 자원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로젝트의 기대와 가정은 충분히 논의되지 않으면 프로젝트를 망치는 요인이 됩니다.'
해당 말을 요약하자면 고객이 프로젝트에 얼마나 기대하는가, 추가적인 요청에 대한 성공 가능성 이해도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대처를 해야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고객이 프로젝트에 얼마나 기대하는가
고객은 프로젝트 요구사항만 인지하고 있기에 제약 조건에 대하여 변동될 요구사항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기에 개발 계획에 정의된 요구사항이 제약사항으로 인해 목표나 기능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면 기존 만족도에서 낮아지더라도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요청에 대한 성공 가능성 이해도
프로젝트 진행 중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정의되었을 때 제약 조건에 영향을 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범위가 커지는 요구사항이 정의가 된다면 시간과 비용이 더 필요하게 되고 정해진 기간 내 목표에 달성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기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고객에게 현재상황을 인지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계획 조정에 동의하도록 소통을 한다면 만족도를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주요 이해 관계자가 제약 조건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제약이라는 단어는 부정적인 느낌을 포함하고 있기에 프로젝트는 제약 조건과 대척 관계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약 조건은 프로젝트의 규격을 형성하고 관리나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는데 도움을 주기에 장기적으로 본다면 프로젝트를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침과 같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까다롭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Reforence
'study > ques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estion <6> | RCA action plan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기 [2/3] (0) | 2024.11.23 |
---|---|
question <5> | 근본 원인 분석(RCA)이란? [1/3] (0) | 2024.11.22 |
question <3> |대표적인 품질 제약 조건 6가지 [2/3] (0) | 2024.11.20 |
question <2> | 품질 제약 조건이란? [1/3] (0) | 2024.11.19 |
question <1>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품질이란? (0) | 2024.11.18 |